오노레 보그랑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노레 보그랑역은 퀘벡 몬트리올 지하철 녹색 선의 역으로, 이브 베르나르가 설계했다. 셔브룩 거리와 오노레-보그랑 거리에 출구가 있으며, 버스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다. 2018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2016년에는 역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었다. 역명은 인근 도로인 오노레 보그랑가에서 유래했으며, 오노레 보그랑은 퀘벡의 언론인이자 정치인이었다. 주변에는 에스페랑스 유대인 병원, 루이 이폴리트 라퐁텐 터널, 샹플랭 빌리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색 선 (몬트리올) - 비오역
비오역은 몬트리올 지하철 녹색 선에 있는 역으로, 한때 간이역이었으나 현재는 모든 영업이 종료되었으며, 역명은 비오 가에서 유래했고, 장폴 무소의 벽화가 있으며, 시설 개선 공사를 통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인근에는 다양한 명소가 있다. - 녹색 선 (몬트리올) - 보드리역
보드리역은 몬트리올 지하철 녹색 선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게이 빌리지를 상징하는 무지개 색상 기둥이 특징이며, 메종 드 라디오캐나다, 몬트리올 노트르담 병원 등 주변 명소가 있다. - 1976년 개업한 철도역 - 미나미마키가하라역
미나미마키가하라역은 1976년 개업한 사가미 철도 이즈미노 선의 철도역으로, 요코하마시 아사히구에 위치하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고, 역 주변은 뉴타운 주택지이며 재개발 사업을 통해 상업 및 주거 시설이 확충되었고,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10,250명이다. - 1976년 개업한 철도역 - 시모야마구치역
시모야마구치역은 세이부 철도 사야마 선의 역으로, 1929년에 개업하여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니시토코로자와역과 세이부 구장앞역 사이에 위치하고, 역 주변은 주택가로 쓰바키미네 뉴타운, 도코로자와 시립 도서관 등이 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오노레 보그랑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주소 | 셰르브루크 가 / 뤼 오노레 보그랑 |
국가 | 캐나다 |
해발 고도 | 해당 정보 없음 |
노선 | 엑소 STM 엑소 CRT 라노디에르 |
구조 | 해당 정보 없음 |
승강장 | 해당 정보 없음 |
깊이 | 9.4 m (55번째로 깊음) |
층수 | 해당 정보 없음 |
접근성 | 예 |
선로 수 | 해당 정보 없음 |
주차장 | 해당 정보 없음 |
자전거 보관소 | 해당 정보 없음 |
수하물 취급 | 해당 정보 없음 |
개업일 | 1976년 6월 6일 |
건축가 | 이브 베르나르 |
폐쇄일 | 해당 정보 없음 |
재건축 | 해당 정보 없음 |
전철화 여부 | 해당 정보 없음 |
코드 | 해당 정보 없음 |
소유주 | 해당 정보 없음 |
운영 기관 | 몬트리올 교통공사 |
구역 | ARTM: A |
상태 | 해당 정보 없음 |
이전 명칭 | 해당 정보 없음 |
승객 수 | }} |
월간 승객 수 | 해당 정보 없음 |
지도 위치 | 해당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노선 정보 | |
노선 | ■ 녹색 선 |
이전 역 | 라디송 |
역간 거리 | 0.72km |
다음 역 | 해당 정보 없음 |
역간 거리 (다음 역) | 해당 정보 없음 |
비고 | 해당 정보 없음 |
주석 | 해당 정보 없음 |
2. 역 구조
이브 베르나르가 설계한 이 역은 개착식 공법으로 지어진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녹색 선의 종착역이자 주요 시내버스 환승 허브로서 현대적인 감각과 실용성을 살렸다.[5]
이 역의 이름은 인근 도로인 오노레 보그랑가(Honoré-Beaugrand)에서 유래했으며, 이 거리는 퀘벡주 출신의 언론인이자 정치인, 작가, 민속학자인 오노레 보그랑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역 동쪽 끝에는 넓은 메자닌이 있으며, 이곳은 세 개의 출구로 이어진다.[5] 이 중 두 개의 출구는 버스 승강장과 연결되어 있다.[5] 출입구는 셔브룩 거리 7950, 7955번지와 오노레-보그랑 거리 4755번지에 위치한다.
메자닌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 위에는 장폴 무소가 제작한 세라믹 벽화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5] 승강장은 메자닌 쪽 계단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이며, 천장은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단조로움을 피했다. 승강장 벽은 시멘트 재질로 마감되었고, 역명판 뒤에 설치된 조명이 벽에 극적인 그림자를 만들어낸다.[5]
역에는 뉴스, 광고, 다음 열차 도착 시간 등을 보여주는 메트로비전 정보 화면이 설치되어 있다.
2016년에는 약 2000만캐나다 달러 규모의 역 리모델링 공사가 시작되어 방수 처리, 포장 및 조명 교체, 엘리베이터 3대 설치 등이 진행되었다.[3] 엘리베이터는 2018년 12월 14일에 완공되었으며[6], 이로써 오노레 보그랑역은 리오넬 그루역에 이어 녹색 선에서 두 번째로, 몬트리올 지하철 전체에서는 14번째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역이 되었다.[6][3]
3. 역명 유래
오노레 보그랑은 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프랑스 군에 입대하여 멕시코 출병에 참전하였고, 막시밀리아노 1세 황제를 보위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베니토 후아레스가 이끄는 멕시코 군대가 봉기하여 케레타로를 포위하면서 멕시코 제국은 멸망하였다. 이후 보그랑은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였다. 몬트리올로 돌아온 그는 1879년에 La Patrie|라 파트리프랑스어 신문을 창간하였으며, 1885년부터 1887년까지 몬트리올 시장을 역임하였다.[7]
4. 버스 연결편
오노레 보그랑역에서는 몬트리올 교통공사(STM)와 CRT 라노디에르 소속의 다양한 버스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버스 터미널은 셰르브룩 가 양쪽에 위치해 있다. 각 버스 노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4. 1. 몬트리올 교통공사 (STM)
오노레 보그랑역에서는 다양한 몬트리올 교통공사 (STM)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각 노선은 몬트리올의 여러 지역으로 연결되며, 운행 시간과 간격은 노선별로 다르다. 주요 노선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노선 번호 | 노선명 (프랑스어) | 주요 행선지 | 비고 |
---|---|---|---|
18 | 보비앙 (Beaubien) | 생로랑 / 생조티크 ↔ 오노레 보그랑역 | 매일 상시 운행. 평일 최대 10분 간격 운행 (오전 6시 - 오후 9시) |
26 | 메르시에 에스트 (Mercier-Est) | 라디송역 ↔ 클로드 마송 / 안 쿠트망슈 | 매일 상시 운행. (오노레 보그랑역 경유) |
28 | 오노레 보그랑 (Honoré-Beaugrand) | STM 앙주 차량기지 ↔ 라퐁텐 / 조르주 비제 | 매일 상시 운행. (오노레 보그랑역 경유) |
85 | 오슐라가 (Hochelaga) | 프롱트낙역 ↔ 데조르모 / 쇼몽 | 매일 상시 운행. (오노레 보그랑역 경유) |
141 | 장 탈롱 에스트 (Jean-Talon Est) | 생미셸역 ↔ 오노레 보그랑역 | 매일 상시 운행. 평일 최대 10분 간격 운행 (오전 6시 - 오후 9시) |
185 | 셰르브루크 (Sherbrooke) | 프롱트낙역 ↔ 벨리브 / 볼드윈 | 매일 상시 운행. (오노레 보그랑역 경유) |
186 | 셰르브루크 에스트 (Sherbrooke-Est) | 오노레 보그랑역 ↔ 셰르브루크 / 구앵 | 매일 상시 운행. |
187 | 르네 레베크 (René-Lévesque) | 오노레 보그랑역 ↔ 42번 / 앙리 부라사 | 평일 최대 10분 간격 운행 (오전 6시 - 오후 9시, 방향별 시간대 상이) |
189 | 노트르담 (Notre-Dame) | 오노레 보그랑역 ↔ 셰르브루크 / 구앵 | 매일 상시 운행. |
362 | 오슐라가 / 노트르담 (Hochelaga / Notre-Dame) | 프롱트낙역 ↔ 100번 / 뷔로 | 심야 버스. 매일 심야 시간대 운행. (오노레 보그랑역 경유) |
364 | 셰르브루크 / 조셉 르노 (Sherbrooke / Joseph-Renaud) | 앳워터역 ↔ STM 앙주 차량기지 | 심야 버스. 매일 심야 시간대 운행. (오노레 보그랑역 경유) |
370 | 로즈몽 (Rosemont) | 킬데어 / 웨스트민스터 ↔ 오노레 보그랑역 | 심야 버스. 매일 심야 시간대 운행. |
486 | 셰르브루크 급행 (Express Sherbrooke) | 오노레 보그랑역 ↔ 셰르브루크 / 구앵 | 급행 버스. 평일 러시 아워 운행 (방향별 시간대 상이) |
487 | 부드릴 급행 (Express Bout-de-l'Île) | 오노레 보그랑역 ↔ 100번 / 뷔로 | 급행 버스. 평일 러시 아워 운행 (경로 및 시간대 복잡) |
4. 2. 엑소 라송시옹 (MRCLASSO)
엑소 라송시옹 지역 버스는 오노레 보그랑역 대신 인근 라디송역을 종점으로 운행한다. 오노레 보그랑역은 중간 정류장 역할을 한다.
노선 번호 | 노선명 (프랑스어) | 노선명 (한국어)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100 | L'Assomption - Repentigny - Charlemagne - Montréal | 라송시옹 - 레팡티니 - 샤를마뉴 - 몬트리올 | 셰르브루크 거리 | 라디송역 | 라디송역 방면 평일 오전, 라송시옹 방면 평일 오후 운행 |
300 | Repentigny - Montréal via Notre-Dame | 레팡티니 - 몬트리올 (노트르담 경유) | 노트르담 거리 | 라디송역 | 라디송역 방면 평일 아침, 레팡티니 방면 평일 상시 운행 |
400 | Repentigny - Montréal via Sherbrooke | 레팡티니 - 몬트리올 (셰르브루크 경유) | 셰르브루크 거리 | 라디송역 | 매일 상시 운행 |
5. 근처 명소
- 에스페랑스 유대인 병원 Centre hospitalier juif de l'Espérancefra
- 루이 이폴리트 라퐁텐 터널 Louis Hippolyte Lafontaine Tunnelfra
- 샹플랭 빌리지 Village Champlainfra
- 몽생탄투안 소아재활병원
6. 인접한 역
(앙그리뇽 방면)